환경부가 중점사업인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 가동에 앞서 운영과 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 수립에 나섰다. 클러스터에 대한 전문적인 운영을 통해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산업의 성공적 안착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11일 관계기관에 따르면 환경부는 최근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의 정착을 위해 운영관리계획 수립작업에 착수했다.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는 전가차에 사용된 폐배터리의 재사용ㆍ재활용 관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것이다.
정부의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라 사용후 전지 발생량은 매년 급증하고 있다. 2020년 기준 275개에 불과했으나 오는 2025년 3만1700개, 2030년 10만7500개로 점차 확대될 것으로 추산된다.
글로벌 시장 역시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SNE리서치는 글로벌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규모가 매년 33%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2025년 3조원, 2030년 70조원, 2040년 230조원, 2050년 600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정부는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유통체계 마련은 물론 재사용 불가 배터리의 환경적인 처리와 리사이클링까지 하겠다는 계획이다.
2021년부터 추진된 클러스터의 중심은 포항이다. 포항시는 사용후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공사를 진행중이며 2024년 준공. 2025년부터 본격적인 운영이 시작된다.
이에 환경부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클러스터 가동 이전 구체적인 운영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클러스터의 성공적인 정착과 동시에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의 전후방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순환경제 기반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다.
연구용역의 핵심은 △입주기업 및 관련산업 육성과 거버넌스 구축 방안 △클러스터 전문운영기관 선정 방안 △시설별 운영방안 △클러스터 운영조직 및 인력 운영계획 수립 등이다.
클러스터 조성 이전 입주 희망기업에 대한 수요조자를 실시하고 이에 맞은 공모 방안을 마련한다. 여기에 기업의 혁신성장 및 관련산업 육성을 위한 실증화 등 지원 방안도 수립한다.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 운영이 처음인 만큼 전문운영기관 선정 기준도 만든다. 클러스터 내 각종 지원시설과 연구시설 등의 전문성을 고려하는 동시에 도입 여부를 검토중인 폐배터리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와도 연계한 전문성 등도 파악한다.
이를 바탕으로 환경부는 클러스터 전문운영기관 선장 및 ‘녹색융합클러스터법’에 따른 전문운영기관 지정 고시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아울러 종합정보지원센터와 자원순환연구센터 등 클러스터에 들어설 각종 시설들에 대한 운영계획도 수립하는 한편, 클러스터 조직 및 인력 운영계획도 수립할 방침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클러스터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 종합적인 운영관리계획 수립과 클러스터 전문운영기관 선장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 연구용역을 진행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한경제신문 이재현 기자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30609135808911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