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광물가격 동향 (10월 4주차)

1. 6대 전략광물 가격 및 광물종합지수(`16.1월=1,000인 지수)

※ 동, 니켈, 아연(LME기준), 연료탄(호주 뉴캐슬 FOB기준, ICE기준), 원료탄(호주 FOB기준, Premium Low Vol), 철광석(중국 주요항 CFR기준, 62%분광), 우라늄(NUEXCO 주간 현물가격지수)
 
◈ 동, 니켈, 아연 : 달러가치 하락 및 러시아산 금속거래 규제이슈에 따른 상승세
– 주요국 인플레이션 지속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에도 불구, 미달러가치 하락과 광종별 타이트한 수급상황에 따라 비철금속 상승압력이 발생하면서 10월4주차 전기동과 니켈가격은 각각 전주대비 1.6%, 2.8% 상승세를 나타냄. 유럽중앙은행(ECB)은 인플레이션 저감을 위해 기준금리를 75bp 인상하였으며, 금주 미연준도 FOMC회의를 앞두고 4번째 자이언트 스텝(75bp↑)을 단행할 것으로 시장은 전망하는 상황임. 같은기간 미달러인덱스는 110.67로 전주대비 1.65p 하락, 2주연속 하락하면서 위험자산 투자선호 회복에 기여했으며, 중국의 3분기 GDP 성장률도 전년동기대비 3.9%로 전망치인 3.4%를 0.5%p 상회하면서 비철금속 수요회복을 견인함. 또한 런던금속거래소(LME)의 러시아산 금속의 거래규제 가능성으로 공급차질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 전기동은 칠레 국영 Codelco사의 월간 동 생산량이 Chuquicamata광산의 품위저하 등으로 3년내 최저치를 기록하였고, 연간 전망치도 160만톤에서 150만톤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니켈은 중국의 금년 1~9월 니켈메트 수입량이 전년동기대비 692.3% 증가로 배터리시장 확대에 따른 원재료 수입수요가 확대됨. 아연도 LME의 10월4주차 재고량이 48,980톤으로 전주대비 4.1% 감소, 7주연속 감소세로 타이트한 수급상황을 나타냄
 
◈ 유연탄 : 중국의 석탄증산 및 제로 코로나 정책기조에 따른 하락세
– 10월4주차 국제유가(WTI)는 배럴당 87.9달러로 전주대비 3.4% 상승에도 불구, 중국의 석탄증산 및 코로나 재확산으로 제로 코로나 정책이 지속되면서 경제활동 둔화 우려로 연료탄 하방압력이 발생함. 중국의 9월 석탄 생산량은 3.9억톤으로 전년동월대비 12.3% 증가했으며, 1~9월 누적생산량은 33.2억톤으로 전년동기대비 11.2% 증가함
 
◈ 철광석 : 세계 철강소비 감소 전망에 따른 하락세
– 세계철강협회에 따르면 유럽의 전력난과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기조에 따른 경기부진으로 세계 철강수요가 둔화될 전망이며, 10월4주차 중국의 주요항구 철광석 재고량은 1억2,944만톤으로 전주대비 0.5% 증가세로 가격하방요인으로 작용함
 
◈ 우라늄 : 파운드당 53.29달러, 전주대비 2.3% 상승세

2. 주요 희소금속 : 망간, 리튬, 코발트, 희토류
◈ 페로망간 : 중국 내수 가격은 유지되었으나, 달러화 강세로 수출가격 하락
– 중국 내수가는 대부분의 공급업체들이 높은 원료비용으로 인해 가격 인하 거부
– 달러화 대비 위안화의 지속적인 약세로 중국 수출업자들이 수출가 인하
– 시장여론은 중국 부동산 경기 하락 및 인프라 부문의 철강 수요 둔화가 단기적으로 시장가를 압박할 것으로 전망
* 중국 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22.1~9월 부동산 부문 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8% 감소
 
◈ 탄산리튬 : 타이트한 공급과 강력한 수요를 바탕으로 가격 상승하며 최고치 지속 경신 중
– 지속적인 스포듀민 원료가격 상승 및 전력·에너지저장장치(ESS) 수요 증가
– 높은 가격과 제한된 현물 물량에도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리튬 원료 확보를 희망
 
◈ 코발트 : 수급 교착상황이 지속되며 코발트금속 가격 보합세
– 코발트 시장은 미국의 항공우주 및 의료용 특수합금분야의 수요 강세와 중국산 저가 코발트 공급의 수급 균형상태 지속
 
◈ 희토류 : 자석 제조업계 재고 수요 감소로 자석용 희토류 원료 가격 약세
– 대부분의 소비업체들이 자재의 대량 입고에는 관심이 없고, 단기기간 계약에 의존
– 시장여론은 자석산업의 단기 수요전망에 대해 여전히 비관적이며, 위안화 약세까지 맞물려 수출가격이 단기적으로 하향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
– 산화이트륨은 현물공급 증가와 중국 내외부 수요 감소로 가격 대폭 하락
– (경희토류) 산화네오디뮴 가격 하락, 산화세륨·란탄 가격 유지
– (중희토류) 산화디스프로슘 가격 소폭 하락, 산화이트륨 가격 대폭 하락

게시글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