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광물가격 동향 (12월 1주차)

6대 전략광물 가격 및 광물종합지수

◈ 동,니켈,아연 : 미연준 금리인상 속도조절 가능성 및 중국 코로나 방역정책 완화에 따른 상승세
주요국 인플레이션 지속으로 경기둔화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나, 중국의 제로 코로나
방역정책 완화 및 미연준의 금리인상 속도조절 가능성 확대로 비철금속 상승압력이
발생하면서 12월1주차 전기동과 니켈가격은 각각 전주대비 3.4%, 10.7% 상승세를 나
타냄. 같은기간 미달러인덱스는 105.08로 전주대비 0.62p 하락, 2주연속 하락세로 위험
자산 투자선호를 회복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 12월13~14일 미연준의 연방공
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둔 가운데 FedWatch에 따르면 기준금리 50bp 인상확
률이 79.4%로 긴축정책의 완화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임. 또한 중국 리커창 국무원 총
리는 방역조치 완화에 따라 중국 경제성장 속도가 반등할 것으로 언급하는 등 제로코
로나 정책기조가 약화되면서 자원수요 회복세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됨. 한편 유럽위
원회(EC)는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의 일환으로 자원개발 신규투자를 금지하는 조항
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지면서 향후 공급전망에 하방제약으로 작용할 전망임. 동은
세계 2위 생산국인 페루의 Castillo 대통령이 탄핵되면서 정치적 리스크가 높아진 가
운데 칠레의 10월 동 생산량이 47.7만톤으로 전년동월대비 1.4% 증가세를 나타냄. 니
켈은 IGO사의 호주 Nova광산(`22년 26,675톤 생산)의 화재사고로 전력복구에 최소 1
달이상이 소요될 전망이어서 공급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임. 아연은 LME 재고량이
38,580톤으로 전주대비 6.2% 감소, 13주연속 감소세로 타이트한 수급상황이 지속됨

◈ 유연탄 : 계절성 수요확대 및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완화에 따른 상승세
12월1주차 국제유가(WTI)는 배럴당 71.02달러로 전주대비 11.2% 하락에도 불구,
연료탄 시장은 계절성 수요확대 및 중국의 제로 코로나 방역정책 완화에 따른
경제활동 회복전망이 제기되면서 가격상승압력이 발생함

◈ 철광석 : 중국 코로나 방역정책 완화에 따른 상승세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완화에 따른 부동산, 건설업 경기회복 기대감으로 상승압력이 발
생하면서 철광석 가격은 전주대비 8.3% 상승세를 나타냄. 다만, 중국의 1~11월 철광석
수입량이 10억200만톤으로 전년동기대비 2.1% 감소하여 상기 상승압력을 일부 상쇄함

◈ 우라늄 : 파운드(lb)당 48.40달러, 전주대비 3.1% 하락세(3주연속)
주요 희소금속 : 망간, 리튬, 코발트, 희토류
◈ 페로망간 : 지속되는 현물거래 약세 속에서 중국 내수 가격은 유지되었으며, 달러화 대비 위안화 환율이 오르며 수출가 상승
대부분의 무역업체들이 중국 주요 철강업체들의 12월 인도분 구매 입찰을 기다리며
관망세를 취함
대부분의 공급업체들이 철강 제조 수요의 지속적인 침체로 인해 지난 몇 달에 걸쳐 조업을
절반 수준으로 줄이고 현물 시장 공급용 재고를 제한적으로 운영 중

◈ 탄산리튬 : 배터리 하류 부문의 수요 약세가 지속되면서 중국 내수 가격 소폭 하락
→ 미화 환산과정에서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보여지나, 실제 내수 가격은 소폭하락
장시성의 일부 리튬염 생산업체들이 11월말~12월초 이춘시 진장강 환경문제로
조업을 중단해 공급이슈가 발생했으나 그 영향은 미미했음
시장여론은 단기적으로 가격의 추가 하락을 전망

◈ 코발트 : 중국산 코발트의 유럽 시장 유입이 지속되며 가격 하락
미국의 특수합금 분야 수요는 여전히 견조했으나, 중국산 코발트의 유럽 시장
유입량이 증가하며 가격 하락

◈ 희토류 : 산화물 공급 부족이 이어지고 현물구매 수요가 증가했으며, 달러화 대비
위안화 환율 상승으로 자석용 희토류 원료의 가격 상승폭 확대
대부분의 재활용 업체들이 한정된 현물 공급 및 높은 NdFeB 스크랩 원료 비용으로
인해 가동률을 줄이거나 생산을 중단하며 산화물 공급 부족이 지속됨

(경희토류) 산화네오디뮴 가격 상승, 산화세륨·란탄 가격 소폭 하락
(중희토류) 산화디스프로슘 가격 상승, 산화이트륨 가격 유지

게시글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