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광물가격 동향 (4월 3주차)

1. 6대 전략광물 가격 및 광물종합지수

◈ 동, 니켈, 아연 : 미달러가치 상승 및 광종별 수급상황에 따른 하락세(니켈은 상승세)
  – 중국의 GDP 성장률 등 경기지표 개선에도 불구, 5월 미연준의 금리인상 우려로 미달러가치 상승에 따른 위험자산 기피심리가 확산되는 가운데 공급차질 완화로 전기동 가격은 전주대비 0.3% 하락세를 나타냄. 다만, 니켈시장은 타이트한 시장수급 및 메이저 생산부진으로 상승압력이 발생하면서 전주대비 6.3% 상승세를 나타냄.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1분기 GDP 성장률은 전년대비 4.5% 증가로 전기대비 1.6%p 증가, `22년1분기 이후 최고치를 경신하였고, 3월 산업생산은 전년동월대비 3.9% 증가로 전월대비 1.5%p 증가, 작년 11월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경기지표가 개선됨. 다만, 5월 미연준 FOMC의 금리인상 우려가 제기되면서 미달러인덱스가 101.61로 전주대비 0.16p 상승하면서 가격하락요인으로 작용함. 동은 중국의 3월 동 수입량이 전년동월대비 19% 감소하였고, 1분기 동 수입량도 전년동기대비 12.6% 급감한 것으로 나타남. 또한 중국의 3월 정련동 생산량은 105만톤으로 전월대비 9% 증가하였고, 페루 Las Bambas광산(연산 40만톤급)은 정상가동을 재개하면서 공급차질이 완화된 것으로 분석. 니켈은 중국의 전기차 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 메이저 Vale사의 1분기 니켈 생산량이 전년동기대비 10.5% 급감하면서 2분기 연속 전년 실적치를 하회함


◈ 유연탄 : 유가하락 및 계절성 수요둔화에 따른 하락세
  – 4월3주차 국제유가(WTI)는 배럴당 77.87달러로 4주연속 상승세를 마감하면서 전주대비 5.6% 하락한 가운데 연료탄 가격은 계절성 수요둔화로 전주대비 2.0% 하락세를 나타냄


◈ 철광석 : 메이저 생산확대 및 중국의 재고량 증가로 하락세
  – 메이저 Vale사의 1분기 철광석 생산량은 S11D 프로젝트의 생산확대에 힘입어 전년동기대비 5.8% 증가하였으며, Rio Tinto사는 Gudai-Darri의 증산으로 철광석 출하량이 전년동기대비 5.8% 증가함. 또한 중국의 45개 주요항구의 철광석 재고량은 1억3,035만톤으로 전주대비 1% 증가함


◈ 우라늄 : 파운드(lb)당 50.35달러, 전주대비 변동없음

2. 주요 희소금속 : 망간, 리튬, 코발트, 희토류
◈ 페로망간 : 제철사, 유통업체의 현물 수요 감소로 가격 약세 추세 지속
  – 합금철에 대한 철강사 현물 수요가 줄면서 가격이 하락했으며, 일부 합금철 제조사는 추가 손실 우려 및 재고 다량으로 생산 가동률을 낮춤 
  – 합금철 시장은 중국 내·외 철강수요가 줄며 추가적인 가격하락 가능 전망  
  
◈ 탄산리튬 : 중국 이차전지 산업 수요 위축으로 가격 급락세 지속
  – 다수 수요업체들이 여전히 최소 현물 물량만을 구매하는 등 수요 부진으로 가격 하락추세 지속, 한편 일부 유통업체들은 재고 확보 시작
  – 일부 시장참여자들은 양극재 제조사들의 재고가 낮은수준에 도달함에 따라, 단기간 내 가격 안정화 및 반등 시점에 도달할 것으로 기대
   * 수산화리튬을 주원료로 사용하는 중국 삼원계 배터리의 경우, 1분기 45.7GWh를 생산하며 전년동기대비 늘었으나, 탑재기준 용량은 20.9GWh로 전년동기대비 감소
  
◈ 코발트 : 중국 물자비축국의 신규 비축 검토 등으로 시장가격 소폭 반등 
  – 중국 국가물자비축국(SRB)의 코발트 신규 비축 검토로 가격 상승 기대감 확산  
  – 반면, DR콩고 내 중국 CMOC가 운영하는 Tenke Fungurume 광산의 수출 재개가능성으로 공급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가격 상승세 제한


◈ 희토류 : 하류부문 산업 현물 수요 약세로 가격 하향세 지속
  – 4.15일 미얀마 정부의 Wa 특별지구 내 불법 채굴중인 광산에 대한 중단 명령 등 향후 공급 차질이 우려되나, 일부 시장관계자는 해당 지역의 적은 생산량과 많은 재고로 가격에 대한 영향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 중국 물자비축국의 산화디스프로슘 비축 가능성으로 4.20일부터 가격 반등
  – (경희토류) 산화네오디뮴 가격 하락, 산화세륨·란탄 가격 하락
  – (중희토류) 산화디스프로슘 가격 하락, 산화이트륨 가격 유지

게시글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