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6대 전략광물 가격 및 광물종합지수

– 5월 미연준의 금리인상 우려로 달러가치가 상승하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부진 및 미국의 은행리스크 지속으로 위험자산 하방리스크가 부각되면서 비철금속 가격하방압력이 발생함. 이에따라 4월4주차 전기동과 니켈가격은 각각 전주대비 3.6%, 3.8% 하락함. 지난주 미국의 퍼스트리퍼블릭 은행의 유동성 위기가 지속되면서 금융리스크가 심화되었으며, 세계 경기부진 우려로 주요 기업들의 반도체 감산결정 등 제조업 생산둔화 가능성이 제기됨. 또한 중국의 4월 NBS 제조업 PMI는 49.2로 전망치를 크게 하회한 것으로 나타남. 같은기간 미달러인덱스는 101.92로 전주대비 0.61p 상승하면서 위험자산 기피심리 확산에 따라 가격하락요인으로 작용함. 동은 중국의 1분기 동 수입량이 전년동기대비 12.6% 급감하였고, LME 동 재고량도 4월4주차 기준 60,740톤으로 전주대비 16.9% 급증하면서 가격하방압력이 심화되는 것으로 분석. 니켈은 중국의 철강산업 부진으로 스테인리스 산업의 원료수요는 하방압력을 받고 있으나, 전기차 배터리 원료인 황산니켈은 중국의 3월 수입량이 전년동월대비 64.7% 증가, 1분기 수입량은 전년동기대비 96.1% 증가하는 등 신규수요 확대를 나타냄. 4월4주차 LME 재고량도 40,554톤으로 전주대비 2.2% 감소세를 나타내면서 타이트한 수급상황 지속으로 상기 하방압력을 부분상쇄하는 것으로 분석
◈ 유연탄 : 유가하락 및 계절성 수요둔화에 따른 하락세
– 4월4주차 국제유가(WTI)는 배럴당 76.78달러로 전주대비 1.4% 하락하면서 에너지원 하방압력이 발생한 가운데 계절성 수요둔화로 연료탄 가격은 전주대비 1.2% 하락세를 나타냄
◈ 철광석 : 메이저 생산확대 및 중국의 재고량 증가로 하락세
– 경기부진 우려로 중국 철강협회(CISA)가 자국 제강사들에게 감산을 촉구하는 가운데 메이저 Anglo American의 증산으로 철광석 하방압력이 발생함. 당사의 남아공 자회사 Kumba의 1분기 철광석 생산량은 940만톤으로 전년동기대비 14% 증가하였고, 당사의 Minas-Rio광산의 생산량도 565만톤으로 전년동기대비 16% 증가함
◈ 우라늄 : 파운드(lb)당 53.80달러, 전주대비 6.9% 상승세
2. 주요 희소금속 : 망간, 리튬, 코발트, 희토류

◈ 페로망간 : 제철사, 유통업체의 현물 수요 감소로 가격 약세 추세 지속
– 합금철 전반의 낮은 현물 수요와 충분한 재고로 가격 하락 추세 지속
– 시장참여자들은 부동산·건설 경기의 낮은 성장 전망으로 단기적 가격 하락 전망
◈ 탄산리튬 : 11월부터 지속된 가격 하락 추세 이후 첫 가격 반등
– 다수 유통업체 및 수요업체들의 원료 재고 감축 이후 구매 활동에 나서 가격 소폭 반등
* 탄산리튬 주간 평균가격은 하락하였으나, 주중 소폭 반등 : (4.25)165,500 → (4.28)177,500위안
– 호주 광산업체 증설에 따라 중국 스포듀민 수입가 하락은 이어졌고, 현재 탄산리튬 수요업체의 대규모 구매가 없어 시장참여자들의 5월 가격 전망 의견은 분분함
◈ 코발트 : 제한된 수요 중 공급 상승 전망으로 가격 하락
– DR콩고 내 중국 CMOC가 운영하는 Tenke Fungurume 광산의 수출 재개 가능성에 따라 공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며 시장가격 하락
* 중국 CMOC는 DR콩고 현지 광산회사 Gecamines와 Tenke Fungurume 프로젝트 운영에 대한 로열티 합의가 불발되어 ’22.3분기부터 수출 제한되었으나 4월 로열티 지불에 합의, 최대 1.5만톤 규모 코발트 생산재고 추정
◈ 희토류 : 영구자석 산업 수요 반등 신호가 없어 단기간 가격 하락 전망
– 중국 물자비축국의 산화디스프로슘 비축 계획으로 가격 상승했으나, 예상보다 적은 물량과 낮은 가격으로 상승 제한 및 주중 가격 하락
* 4.24일 중국 물자비축국은 Northern Rare Earth, China Rare Earth, Xiamen Tungsten, Guangdong Rare Earth와 회의를 통해 산화디스프로슘 365톤(1,956위안/kg), 산화이트륨 500톤(52.7위안/kg) 등 신규 구매 계획 확정
– (경희토류) 산화네오디뮴 가격 하락, 산화세륨·란탄 가격 하락
– (중희토류) 산화디스프로슘 가격 상승, 산화이트륨 가격 유지